본문 시작

영상 소통공간

[오세훈 취임 1주년] 서울시.. 뭘 하는지 모르겠다고요? '오세훈이 말하는 서울의 미래' #오세훈 #1주년

작성일2023-07-01 조회606

[오세훈 취임 1주년] 서울시.. 뭘 하는지 모르겠다고요? '오세훈이 말하는 서울의 미래' #오세훈 #1주년


#00:00 ~ #00:25
오세훈 서울시장 발언 장면 모음

오세훈 서울시장)
그걸 주장하시는 분이 하마터면 대통령이 되실뻔 하셨어요.
저는 불안해요. 오세훈 너부터 태워주마
여기 세운상가를 허물려면 조단위의 돈이 들어가요. 이게 1조 5천억짜립니다.
아이서울유 보다는 서울마이소울이 조금 낫죠?
욕을 엄청나게 먹었는데 짓고나서 평가가 확 달라졌습니다.
가난의 대물림이죠. 이걸 교육부터 끊어내겠다하고
다음에 또 제가 시장이 될 수 있을까요? ㅎㅎㅎ


#00:33
오세훈 서울시장) 네 여러분 반갑습니다.

#00:49
오세훈 서울특별시 시장 초청
제41회 G밸리 상생혁신포럼
동행·매력특별시 서울
2023년 6월 22일(목)


#01:25
약자와의 동행 5종세트
생계 - 안심소득: 하후상박형 소득보장제도. 복지사각지대 없는 서울!
주거 - 촘촘한 주거안전망: 자부심이 생기는 누구나 살고 싶은 고품질 임대주택
교육 - 서울런(seoul learn): 공부하고 싶은 학생 누구나! 교육걱정 없는 서울!
의료 - 공공의료 서비스: 튼튼한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건강특별시 서울!
안전 - 촘촘한 사회안전망: 안전 취약계층을 위한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03:07
1. 서울형 안심소득
소득중심의 전국민 사회보장으로 사회안전망을 강화합니다.
서울형 안심소득이란?
1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85%에 미달되는 가구대상
미달소득의 50%를 현금으로 지원하는 복지제도

#03:21
1. 서울형 안심소득
2023.4.7 조선일보 기사제목 - 기본소득보다 돈 덜 들고 분배는 개선, 오세훈표 안심소득 시동


#03:34
1. 서울형 안심소득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下厚上薄)지원!
안심소득 = (중위소득 85% 기준액 - 가구소득)의 50%
(1인가구 기준, 단위: 월/원)

가구소득 0원: 88만원 안심소득 지원(1,000가구, 1차)
가구소득 104만원(중위소득 50%): 37만원 지원(600가구, 2차)
가구소득 177만원(중위소득 85%): 0원 지원

#03:34
1. 서울형 안심소득
왼쪽이미지 - 기본소득(보편적 복지 Equlity)
오른족이미지 - 안심소득(선별적 복지 Equity)

#04:59
안심소득 강점1)
복지사각지대 해소
안심소득 1단계 시범사업 지원가구
- 현행복지제도 수급가구: 262가구 45.9%
- 현행복지제도 비수급가구: 246가구 54.1%

#05:10
강점2) 근로의욕 자극
안심소득1단계 급여 지급 현황
- '22.7월 선정 시 484가구
- '23.1월 지급가구 470가구
- '23.5월 지급가구 459가구

#05:50
안심소득 강점3) 간편접수, 자동지급으로 신청주의 한계 극복
- 기사제목: 최소 74만 가구 몰라서 친청 못 해 주거급여 못받아..
- 복잡다기한 복지제도(생계급여, 주거급여, 기초연금, 청년수당, 청년월세 ...) 통합효과(Only One 안심소득)

#06:39
전국민 확대 시
재정부담 없이,
중위소득 85% 이하 대상, 안심소득 전국 확대 시
총 소요액 768조 - 기존지원 예산액 51.9조원
= 추가 소요예산 25조~30조원 추정

매년 11%씩 증가하는 정부 사회복지 재정 규모와 비교
1~7차 코로나 긴급재난지원금 약 100조원
'22.6월 7차 재난지원금 39조원보다 적은 금액

#07:27
+지원대상은 대폭 증가.
수급자율 비교
- 현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4.7% 2,393천명
- 안심소득전국확산시 31.9% 16,428천명(추정)


#11:33
2. 서울형 고품질 임대주택
'열악함'에서 '자부심'으로
[하계5단지 '서울형 고품질 임대주택 1호' 조감도]

#12:43
2. 서울형 고품질 임대주택
누구나 살고 싶고 모두가 부러워하는 서울형 고품질 임대주택
서울 임대주택 3대 혁신방안
1. 평형 UP! 품질 UP!
2. 완전한 소셜믹스
3. 노후단지 재정비
[이미지 - 대면형 주방, 실내수영장, 펫파크, 커뮤니티센터 조감도]

노후 단지 초고층 재건축! 4만가구 → 10만가구 공급


#14:20
2. 서울형 고품질 임대주택 - 청년안심주택

역대급 청년&신혼주택! 청년 안심주택의 고급화
- 좋은 입지(대조동 청년주택: 더블 역세권)
- 가구·마감자재 품질 고급화
- 시세대비 약 85%의 저렴한 임대료
[이미지 - 청년형(36타입), 신혼형(48타입)]

지역사회 중심시설화. 모든세대가 어우러지는 공간
[이미지 - 작은도서관, 피트니스센터, 공유주방, 코인세탁실, 은평 청여울 수정장-모든 지역주민이 저렴하게 이용가능!]


#14:25
주택정책: 서울형 건물분양 백년주택
'23.5.31. 고덕강일 3단지 착공식
기사제목: [아주경제] 디자인·자재 고품질 '서울 첫 반값아파트' 첫삽 떳다.
기사내이미지: 고덕강일 3단지 고품질 건물만 분양 백년주택 착공식

고품질·저비용 두 마리 토끼 잡다!
디자인·자내 고품질화(서울형 건축비 도입)
25평(1평=3.3㎡)기준 분양가 3.5억
특별공급 사전예약 경쟁률 최대 118:1 기록
[이미지 - 고덕강일 3단지 조감도]


#15:31
3. 서울런(Seoul Learn)
코로나19이후 사교육비 지출 더욱 심화.

사교육비 지출 분위별 가구당 월평균 사교육비 차이
[사교육비 총액] 19조 4천억에서 23조4천억(역대 최고) * 출처: 2021, 교육부
- 지출하위 20% 가구 13만원, 지출 상위 20% 가구 136만원으로 10.6배 차이
* 출처 2020, 한국노동패널조사


#16:19
3. 서울런(Seoul Learn)
차별 없는 교육환경으로 미래인재를 양성하겠습니다.
- 최고 수준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 AI기반 학습지원 플랫폼
- 도입. 2021.8. 저소득층 대상 콘텐츠 제공
- 정착. 2022. 청소년 취업 역량 강화
- 확산. 2023.이후 모든 시민 대상


#17:12
3. 서울런(Seoul Learn)
서울런으로 공부한 학생들이 23학번 새내기가 되었습니다!

서울런을 통한 23년도 대학 합격자 총 461명!
- 상위권대학 합격 77명(의학,약학계열 5명/상위 10위권대학 72명)
- 응답자의 74% 대학진학
진로결정 및 취업성공 청년 총27명
학습역량 향상 학습태도 변화 총 251건
'멘티'에서 '멘토'로! 희망이 선순환 총 6건

#17:22
지난 2년, 오세훈은..
['서울런'에 진심이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 서울시는 제가 장담하건데 반드시 이 프로그램을 더 확대하고 지원을 늘려갈 생각입니다.

서울런 이용 학생 학부모 인터뷰 中


#18:44
희망의 인문학
그들에게 다시 꿈꾸는 방법을 알려주다! Since 2008 '희망의 인문학'
2023년 '희망의 인문학'수강생 487명.

기사제목 - [조선일보 2009년 12월 03일 목요알 A33면 사람들] 인문학 통해 '절망' 대신 '희망'을 얻은 노숙자. "노숙 10년" 안승갑씨 내면의 변화 담은 책 펴내.
책 제목 - 거리의 남자, 인문학을 만나다.

[이미지 - 2009 희망의 인문학 입학식]


#20:27
4.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서울시가 엄마·아빠의 10년을 함께합니다.
- 안심돌봄: 서울형 키즈카페, 아픈아이 일시돌봄, 육아조력자 돌봄수당·바우처 등 11개 사업
- 편한외출: 서울 엄마아빠 VIP존, 서울 키즈 오케이존, 서울 엄마아빠 택시 운영 등 5개 사업
- 건강힐링: 출산맘 몸·마음 토탈케어, 서울아이 발달지원센터, 맞춤형 양육코칭 프로그램 등 5개 사업
- 일생활 균형: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 가사지원 서비스, 아이 삼시세끼 틈새지원, 엄마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등 6개 사업

서울시 양육 정보를 한눈에! '만능양육포털' 구축

#20:47
4.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초저출생 위기의 서울시, 모든 난임부부에 시술비 파격지원!

2021년 출생아·난임진단자 : 출생아 26만명, 난임진단자 26만명
난임 시술 인원 추이
- 전국: 2019년 12만 3322명, 2020년 13만 746명, 2021년 14만 3999명
- 서울시: 2019년 4만 6778명, 2020년 5만 257명, 2021년 5만 3053명

저출생 개선을 위한 서울시의 극약처방 '난임지원 확대'
- 난임시술 지원: 소득기준을 폐지! 모든가구 대상 지원. 시술별 횟수 제한 폐지
- 난임동결 시술: 3040 여성 첫 수술비 50% 지원, 미혼여성도 지원
- 고령임산부 검사: 35세 이상 임신부 기형아 검사비 등 지원(최대 100만원)
- 다태아 자녀안심보험: 무료가입 지원

#21:14
4.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3천원의 행복, '서울형 키즈카페'
아이도, 부모도 함께 신나는 '서울형 키즈카페'
안전한 아동 놀이권 보장! 긴급 및 일시돌봄 서비스. 저렴한 비용, 취약계층은 무료!
동별 1개소 설치 예정!
- 2022년 20개소, 2023년 100개소, 2026년 400개소(동별1개소)

#21:17
4.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서울형 공동보육 '모아어린이집' 같이 돌보니 만족도 UP! 아동수 UP!
미래지향적 보육 운영모델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어린이집 간 보육격차 해소, 어린이집 간 협력과 상생, 저출생 대한 선제적 대응.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확대
- 2023년 60개 공동체, 2026년 120개 공동체

#21:43
5. 청년행복 프로젝트
청년들이 더는 '문송'할 필요 없도록!

#21:51
5. 청년행복 프로젝트
취업률 평균 70% 이상! 꿈꾸는 개발자 데뷔코스 '청년취업사관학교'
1구 1청취사 예정!(현재 7호캠퍼스까지 개관)
- SW 개발자 양성과정: 8개 신기술 분야 AI, 빅데이터, IoT/로봇, 앱, 웹, 클라우드, AR/VR, 핀테크
- DT 디지털 전환 인재 양성과정: 4개 직무분야 서비스기획, UI/UX디자인, 디지털마케팅

청·취·사 캠퍼스별 취업률
- 영등포캠퍼스 : SW과정(1,2기) 취업자 144명, 취업률 78.3%, SW과정(3기) 취업자 177명, 취업률 76.9%
- 금천캠퍼스: SW과정 취업자 80명, 취업률 65.6%, DT과정 취업자 75명, 취업률 78.9%
- 마포캠퍼스: DT과정 취업자 62명, 취업률 72.9%
TOTAL 538명 취업성공


#21:59
서울시가 청년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겠습니다.

꿈꾸는 개발자 데뷔코스
청년취업사관학교
https://sesac.seoul.kr/

#22:05
청년취업사관학교 영등포캠퍼스, 금천캠퍼스를 방문한 오세훈 서울시장

#22:36
#열정적인 강사진
인터뷰 - 김재윤 수료생 LG전자 IT사업본부

2025년까지 25개 캠퍼스 조성
서울시가 청년과 함께 뛰겠습니다.


#23:16
6. 손목닥터 9988
조선일보 2023년 5월 20일 화요일 A12면 사회 기사 - 서울둘레길 걸으면 돈이 쌓인다.

#23:26
6. 손목닥터 9988
건강관리와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포인트적립을 동시에!
걷기 등 건강관리 7.000보=200원/일, 식단기록 50원/일, 목표설정 및 달성 최대 2,000원/회 = 참여시 최대 10만원
포인트 사용처 - 병원, 약국, 스포츠센터, 안경점

#23:32
6. 손목닥터 9988
전시민 건강관리 파트너 손목닥터9988로 99세까지 88하게!

손목닥터 9988밴드 - 밴드 수령 후 손목닥터9988APP을 다운받고 스마트밴드와 모바일을 연동하세요(자세한 방법은 택배상자 안의 리플렛을 참고해 주세요)
자기주도 건강관리(건강데이터수집), 건강포인트 적립(건강미션 수행), 건강한 경쟁(참여자 랭킹)


#23:52
[화면] 오세훈 서울시장이 편의점에서 손목닥터9988 포인트로 우유2팩과 아이스크림두개를 사고 있다.


#24:20
매력특별시 서울
경제 - 아시아경제허브: 신성장 산업육성 및 투자활성화로 서울을 아시아의 금융허브로!
문화·관광 - 고품격 글로벌 관광도시: 해외관광객 3천만영 유지목표! 재미와 활력이 넘치는 서울
도시 - 한강르네상스 2.0: 한강을 서울의 대표브랜드로! 한강 중심 수변도시로서의 경쟁력 강화
산업 - 뷰티도시 서울: 글로벌 뷰티산업 육성 본격추진, 서울의 멋·맛·쉼·흥을 미래먹거리화
기술·교통 - 스마트입체교통도시: 새롭게 열리는 하늘길-물길-지하도로에 첨단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입체교통도시!

#24:28
기회와 도약!
포스트코로나시대, 서울의 매력을 발산시킬 수 있는 적기
- '22 관광수요 증가폭 가증 큰 목적지 한국 1위 * 구글
- '23년 여름여행 트랜드 서울 4위 * 부킹닷컴
- '22 연말 인기 해외 여행지 서울 1위 * 일본HIS
- 베트남 '22 코로나 이후 여행가고 싶은 국가 한국 1위 * 한국관광공사
- 필리핀 '22 코로나 이후 여행가고 싶은 국가 한국 2위 * 한국관광공사
- '22 글로벌 검색량 서울 4위 *에어비앤비

#25:58
1. 힙하고 트렌디한 라이프스타일 선도도시
세계가 따라 하고 싶어하는 서울시민의 힙한 라이프스타일
- UNIQUENESS, TASTE, ECO-FRIENDLINESS, WELLNESS
아시아 최대 K-Lifestyle 박람회 개최

#26:04
2. 고품격 글로벌 관광도시
Beauty Seoul - 뷰티, 패션, 디자인, 먹거리, 여행, 웰니스까지!
- Cosmetics, Fashion, Design

#26:45
2. 고품격 글로벌 관광도시
서울의 문화적 기초체력 증진
- K-Classical Music: 서울시립교향악단 Jaap Van Zweden 얍 판 츠베덴(현 뉴욕필하모니 음악감동)
- K-Fine Art: 2022 프리즈 × 키아프 서울

#26:45
2. 고품격 글로벌 관광도시
문화 약자와의 동행으로 모두가 누리는 '문화도시 서울'
- 두터운 미래 관객층 확보를 위해! : 서울청년문화패스, 공연봄날
-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시민들을 위해!: 문화누리카드, 저소득층 예술영재교육지원
- 일상 가까이 누구나 누릴 수 있도록: 천원의 행복, 서울스테이지11, 우리동네 음악회
- 신체적 어려움이 있는 시민들을 위해: 장애청소년 미술교육지원, 특수학교학생 박물관, 미술관 관람지원

#27:35
2. 고품격 글로벌 관광도시
문화·예술이 흐르는 도심, 책으로 덮인 '서울광장'

#28:58
문화·예술이 흐르는 도심, 책으로 덮인 '광화문광장' - 광화문책마당

#29:39
서울의 매력을 총망라한 다양한 축제 개최! -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

#30:15
2. 고품격 글로벌 관광도시
스포츠·MICE산업에 날개를 달아줄 미래성장기반 조성!
잠실 스포츠 MICE복합단지

창의적인 건축디자인과, 차별화된 콘텐츠로 무장한 전시공간 조성
[이미지- 로테르담, 보이스 판뵈닝언 수장고]


#31:03 ~ 31:53
서울시 1분 관광용 숏츠영상
Night is the mother of thoughts - John Florio -
Night is more alive and more richly colored than the day - Vincent van Gogh -
The darker the Night, the brighter the stars - Fyodor Dostoevsky -
Night is the other half of life, and the better half - Goethe -

Fill up your SOUL in sleepless SEOUL.

MY
SOUL
SEOUL

* 본 영상은 국방부 및 관련 기관에 허가를 받고 안전하게 촬영하였습니다. 해당 영상 무단 도용 및 상업적 활용 시 법적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This video was filmed with permission fro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other agencies. You may be subject to legal punishment for unauthorized use and distribution of the video.
* 영상출처 : 서울시 유튜브


#32:29
3. 투자하고 싶은 도시
4대축을 통해 확산되는 서울산업의 성장과 혁신
- 감성문화 혁신축: 방송, 문화, 미디어, R&D - 상암 DMC (김포-마곡-상암)
- 국제경쟁 혁신축: IT, 금융, 핀테크, 역사 - 구로 DIigital Valley (구로-영등포-여의도-용산-서울역-광화문)
- 청년첨단 혁신축: ICT, 바이오, 의료 - 홍릉 서울 바이오 허브 (창동 - 광운대-홍릉-청량리-성수)
- 미래융합 혁신축: AI, R&D, 물류, 로봇, MICE - 양재 도심첨단물류단지 (삼성-수서-양재)


#33:03
3. 투자하고 싶은 도시
삼표부지를 미래산업 트렌드를 리딩하는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 미래산업의 신거점 조성, 한강·서울숲 주변 명소화

#33:22
3. 투자하고 싶은 도시
신산업 성장을 위한 5조원규모 비전펀드 조성 및 혁신인재 공급
비전펀드 조성
- 신성장 산업 → 디지털 대전환 1조원 → 서울바이오 7천7백억원 → 문화콘텐츠 6천억원
- 스케일업 분야 → Scale UP 1조 4천억원 → 창업지원 1조원
- 동행분야 → 첫걸음동행 2천 5백억원

서울시 4년간 3500억원 출자

혁신인재 1만명 공급
- 25개 자치구 청년취업사관학교: 스타트업 인재 1만명 공급(년 1,500명)
청년취업사관학교, 스타트업 수요 반영 커리큘럼 개발, 취업 집중지원
현재 청취사 스타트업 취업자는 총 취업자수의 약 1/3비율 차지
- 대학 캠퍼스타운 역량·자원 활용 예비·초기 스타트업 발굴(년 800팀)


#33:28
G밸리 활성화 사업
서울시는 G밸리 ICT융복합 산업 고도화를 위해 기업성장을 지원합니다.
- G밸리 WEEK 개최 추진
산업행사: 수출상담회, 창업경진대회, 채용박람회 등
문화행사: 영상문화제 등
- G밸리 IoT 아카데미 운영
차별화된 IoT 분야 인재양성,
취·창업 연계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취업률 제고
- G밸리 유망 스타트업 육성
창업큐브 58실 운영, 기업 성장지원(역량강화), 유망스타트업 생태계 활서오하
- G밸리 창업복지센터 운영
1~2층 서울청년센터, 3층 서남권 직장맘센터, 4층 IoT 기술지원센터, 5층 금천 청소년 단기쉼터, 6~10층 G밸리 창업큐브
- G밸리 의료기기 개발지원센터 운영
의료 데이터 활용·분석, 사용적합성 평가, 기술사업화 지원


#33:28
G밸리 활성화 사업
기업종사자를 위한 체육, 문화공간 등 여가시설도 확충하겠습니다.
- 체육시설+기업지원시설 복합개발 : G밸리 디지털 운동장
- G밸리 종사자 체육·문화활동 지원 : G밸리 다목적 체육관

#34:03
G밸리 활성화 사업
G밸리의 산업기능을 지원하는 배후주거지단지로 탈바꿈! - 가리봉동 87-177일대
사업여건 개선
- 단절된 G밸리를 잇는 열린단지 조성(열린보행로, 통경축)
- 남구로역 역세권 연결 복합주거단지 조성(역세권 근생시설, 남구로역 입구 연계 동선계획)
- 주변지역과 조화로운 스카이라인 창출(다양한 높이의 주동 배치)
- 지형의 단차를 활용한 생활편의시설 조성 및 커뮤니티 활성화(부대복리시설, 공공임대상가, 우마길 연계 생활가로, 주민편의, 여성인력센터, 주거복지시설 입체결정)


#34:40
G밸리 활성화 사업
G밸리 일대 만성적 교통체증 해소 방안을 강구하겠습니다.
교통체계 개선방안
- 서부간선도로 일반도로화(진출입로 10개소 조성)
- 수출의 다리 교통체계 개선(램프 신설 등)
- 벚꽃로 도로확장(4차로 확장)
- 디지털 3단지~두산길간 지하차도 조성

#34:47
3. 투자하고 싶은 도시
서울투자청 출범! 투자하고 싶은 도시의 토대를 마련하겠습니다.
Invest Seoul
투자환경 마케팅을 통한 글로벌 인지도 상승!
맞춤형 투자유치로 핵심기업 집중마케팅
외국인 직접투자 전 과정 맞춤 지원.

도입 2022. 서울 투자청 설립
독립 2024. 서울 투자청 출연기관 전환
확장 2025.~ 국내외 투자유치 전문기관


#35:04
3. 투자하고 싶은 도시
런던증권거래소, 아일랜드 투자청과 MOU 체결!
LSEG - invst Seoul - IDA IRELAND

#35:10
3. 투자하고 싶은 도시
다시 뛰는 서울시 금융경쟁력, 2023년 GFCI 10위권 진입!
지옌 글로벌금융센터지수(GFCI) 최근 5년간 서울시 순위(매년 3월, 9월 평가)
- 18년 3월 27위, 9월 33위. 19년 3월 36위, 9월 36위. 20년 3월 33위, 9월 25위. 21년 3월 16위, 9월 13위. 22년 3월 12위, 9월 11위. 23년 3월 10위
- 종합순위(정량적평가) 10위!
- 미래부상가능성(정성적평가) 1위!


#35:10
3. 투자하고 싶은 도시
서울글로벌센터,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One Stop 서비스 제공
Reborn!
SEOUL GLOBAL CENTER
- 외국인 근로자의 안정적 서울 정착 지원 및 편의 제공
- 글로벌 기업종사자 가족 정주여건 개선
- 금융지원시설 연계, 우수전문인력 DB제공 및 매칭

#35:44
3. 투자하고 싶은 도시
외국인 프랜들리(friendly) 서울, 영어친화 도시환경 조성
여의도
- 영어 전용 도서관 조성
- 영어전용 키즈카페 조성

#37:38
4. 한강르네상스 1.0
한강르네상스의 첫 걸음!
- 자연성 회복: 자연형 호안 조성
- 수변 이용 활성화: 워터프론트 타운 조성, 수변 특화 시설물 설치


#38:04
4. 한강르네상스 2.0
더 많은 시민이 더 다채롭고, 더 즐겁게 한강을 즐길 수 있도록!
한강공원 전역에서 즐길 수 있는 축제
- 한강수변체험투어(4월~11월)/ 서울 한강 웰니스 페스타(9월~10월) / 사계절 국제 스포츠대회(연중) / 서울트레킹 / 열기구(10월) / 한강페스티벌(연중) / 드론라이트쇼(5월)

- 난지도: 난지도 캠핑, 가을 숲놀이, 생태놀이, DMC 페스티벌
- 국제 금융지구: 한강 불꽃축제(10월), 한강종이비행기 축제(9월), 한강나이트워크42K(7월)
- 노들섬: 서울드럼페스티벌, 문화예술마당, 노들가요제
- 세빛섬, 잠수교: 한강 달빛 야시장(5월, 9월), 한강 서래섬 꽃축제(5월, 10월), 한강멍때리기대회(6월)
- 뚝섬 유원지: 수상스포츠체험(5월~10월), 서울숲Jazz페스티벌, 슬로우자전거대회(10월)
- 잠실, 송파: 송파둘레길 단풍낙엽축제, 한성백제문화제, 한강이색배경주대회(8월)


#38:10
4. 한강르네상스 2.0
한강 곳곳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문화·예술 축제!
Han River Art Festivals
- 야외뮤지컬: 오스트리아 브레켄츠 축제, 2022
- 야외미술전시(3월~11월): 서울 한강'흥'프로젝트
- 소규모공원(5~6월, 9~10월): 미국 뉴욕허드슨리버 축제
- 조형컨셉축제: 서울 청계천 연등축제

#38:12
4. 한강르네상스 2.0
한강을 수상스포츠와 시민생활체육의 메카로!
Han River Sports Renaissance
- 요트세일링(5월~10월): 서울 한강 서울마리나
- 국제수영대회: 광주 광주셰계 수영대회
- 수상놀이시설(7월~8월): 영국 Fenland Aquaprk
- 아쿠아슬론(7월): 통영 국제트라이애슬론 대회

#38:12
4. 한강르네상스 2.0
미래기술과 접목한 다양한 한강이벤트 개최
Han River High-Tech Events
- 수변미디어파사드: 호주 오페라하우스 미디어파사드
- 불꽃축제(5월, 10월): 서울 한강불꽃축제
- 드론 쇼(5월): 호주 시드니 하버브릿지 드론 쇼
- 열기구 체험(10월): 대전 열기구&생태체험 축제


#38:29
4. 한강르네상스 2.0
Ferris Wheel
매력특별시 서울의 랜드마크!
상징적 디자인, 친환경 기술의 '서울링'

#39:31
4. 한강르네상스 2.0
Floating Stage
석양을 배경으로 물위에서 펼쳐지는
환상적인 문화예술공연!

#39:35
4. 한강르네상스 2.0
ART Pier
부유식 수영장과 선박계류시설이
예술과 만난 한강 아트피어!

#39:38
4. 한강르네상스 2.0
Seoul Port
한강과 서해를 연결하는 '서울항'조성
유람선으로 여의도에서 해외로!

#40:01
4. 한강르네상스 2.0
River Bus
잠실~상암 20분! 수변 거점들을 연계하는
한강수상버스 도입!

#40:47
4. 한강르네상스 2.0
한강중심의 '테크-금융-문화'거점을 조성합니다.
트라이앵글 거점
Tech 용산 - Finance 여의도 - Culture 노들섬
Han River Renaissance Project

#40:58
4. 한강르네상스 2.0
新용산시대, 미래세대가 누릴 국가중심공간으로 조성
- Green Ecology, Convergence, Three-dimentional Transportation, Smart City

천지개벽하는 용산 개발의 핵심, 입체교통 시스템!
- 지상보행 녹지, 지하보행광장, 루프형 지하도로, 루프형 지하도로

용산미군기지가 용산공원으로 탈바꿈 됩니다!


#41:15
4. 한강르네상스 2.0
여의도가 아시아의 디지털 금융허브로 도양합니다.
YBD 여의도 금융중심지 - 자산운용사, 벤처캐피탈, 핀테크 기업
- 글로벌 자산운용사 vc등 : 해외유치를 통한 클러스터 집적도 향상
- 종로,중구(CBD) 은행권, 자산운용사: 전통금융, 핀테크 융합 디지털 금융전환
- 강남, 서초(GBD) 자산운용사, 벤처캐피탈: 투자를 통한 핀테크 기업 스케일업

여의도공원을 수변·국제 금융중심지와 연결된 도심문화공원으로!
- 제2세종문화회관 조감도

Open Spaces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제2세종문화회관'조성
(사례: Elbe Philharmonic Hall, Hamburg)


#43:16
4. 한강르네상스 2.0
근사한 변화를 기다리고 있던 노들섬
[이미지 - 2009 노들섬 공연예술센터 당선작]

2012년 공동체 텃밭으로 변화

아이디어 공모전
[이미지 - 1. 강예린·SoA: Nodeul Aqua Palette ]
아쿠아 팔렛트를 통해 물, 숲과 나무, 하늘 등 노들섬에 이미 존재하는 자연 요소를 병치,혼합하여 새로운 오픈스페이스의 경험 창조

[이미지 - 2. Jurgen Mayer: Nodeul Art Island ]
노들섬 전망대와 강북에서 연결하는 연결로를 하나의 컨셉으로 워터타워, 스케이트 파크, 수상무대 등 다양한 시설 제안

[이미지 - 3. 나은중·유소래: 산들노들 ]
'백로가 노딜던 징검돌' 이라는 유래를 지닌 기존의 노들섬 위에 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징검돌 디자인 적용

[이미지 - 4. BIG(Bjarke Ingels Group): The Ripple]
동서 건축물 상부를 태양광 에너지를 생산하는 캐노피로 덮어 하나의 섬으로 보이도록 제안

[이미지 - 5. 신승수: Bridged Archipelago]
'다리로 연결된 군도(Bridged archipelago)'라는 개념으로 도시와 자연의 경계들을 잇는 섬들의 집합형태로서의 노들섬 조성

[이미지 - 6. Thomas HeatherWick: Soundscape]

[이미지 - 7. 김찬중: Nodeul (r)ing]
가로로 긴 링 형태의 건축물 '노들링'을 통해 한강과 단절된 노들섬을 연결하고 새로운 개념의 이동수단과 랜드마크를 제안


#46:21
4. 한강르네상스 2.0
Waterfront Spaces
치수와 디자인을 함께 고려한 수변공간 조성
(사례: Hafen City, Hamburg)


#47:31
5. 환경정책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서울 조성!
목표: 온실가스 배출양 '26년까지 30% 감축. '95년 40,445천톤CO2, '26년 34,612천톤CO2
핵심과제
- 저탄소 건물 100만호 확산: 건물에너지 효율화 추진,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 전기차 10% 시대: 전기차 충전인프라 대폭 확충, 친환경자동차 지원 확대
- 콘크리트 대신 녹지,물길 조성: 녹지로 가득한 정원도시, 물이 순환하는 물의도시 조성
- 기후재난 안전도시: 기후재해 대비 안전도시 조성, 폭염 및 감염병 대비 시민건강 보호
- 시민협력: 제로웨이스트 서울, 범시민 기후대응 캠페인 전계

#47:36
5. 환경정책
유엔 '한국을 배워라' - 대기질
미세먼지저감을 위한 서울시의 다양한 노력으로 초미세먼지 농도 획기적 감소.
- 초미세먼지(pm2.5)배출량 2005년보다 2020년 75%감소
- 질소산화물(NOx)배출량 2005년보다 2020년 46%감소

서울신문 기사 - 2023년 5월 30일 화요일 001면 종합
서울 초미세먼지 75감소 유엔 '한국을 벤치마킹하라'
15년간 수도권 대기질 공동조사 경기 53%, 인천 23% 배출량 줄어.


#48:20
생활권 5분 전기차 충전망 보급! 전기차시대 본격화
新유형 보급 + 시민신청제도 도입으로 전기차 20%시대 실현!
- 생활교통 거점 급속충전기, 공중이요시설 완속충전기, 주거지 콘센트형 충전기
충전기 확대 목표
- 2020년 8,387기, 2022년말 3만 5,216기, 2026년 22만기

#48:24
5. 환경정책 - 제로웨이스트 서울
일회용품 그만! 서울시 플라스틱'0' (ZERO) 도전
제로카페: 공공기관, 사무실 밀집 지역 다회용 컵 사용 인프라 구축. 유동인구 많은 지역 중심으로 다회용 컵 확산, 거점 지역 내 무인회수기 설치 등
제로식당: 배달,포장용 다회용기 활성화 및 다회용 배달 용기 사용 문화 조성. 배달앱 다회용기 주문 가능지역 확대, 축제,장례식장 다회용기 세척,수거 지원
제로마켓: 1회용 포장재 없는 '친환경 자원순환 마켓'조성. 제로마켓 신규매장개설지원, 무인,온라인매장 운영 등 제로마켓 다양화.
제로캠퍼스: 대학 및 대학생이 주도하는 '제로웨이스트 캠퍼스'구축. 쓰레기 제로 챌린지 공모전 개최, 폐기물 감량 실천 및 홍보 서포터즈 운영

청년중심 제로웨이스트 호라동
- 동국대, 일회용품 없는 대학 '제로캠퍼스'추진 나서
- 바로 지금, 나부터 제로웨이스트캠퍼스. 제로웨이스트 캠퍼스 활동에 동참하세요.

#48:28
5. 정원도시 서울
녹색으로 채워온 지난 노력들로 서울의 공원율 대폭 증진!
서울의 공원율 2001년 25.74%, 2022년 28.53%
- 경의선 숲길(11'착공), 노을공원(08'), 서서울호수공원(09'), 북서울 꿈의 숲(09')

#48:28
5. 정원도시 서울
'365일 어딜가든 서울가든' 5분거리 정원도시 조성!
시민과 함께 만드는 정원도시 서울
목표: 2,200개소 마을정원, 2,000km 서울초록길, 6거점형 열린대규모정원 , 1,860명 시민정원활동가
핵심과제
- 비움: 유휴부지 공원화, 도로상부 공원화, 동네정원, 비우는 도시디자인
- 연결: 서울초록길, 서울둘레길 2.0, 국가상징가로, 서울광장숲, 녹지생태도심, 입체정원도시
- 생태: 남산 숲 박물관, 물의정원 조성, 생활밀착형 숲 복원, 하천 자연성 회복
- 감성: 서울(국제)정원 박람회, 공원명소화, 거점형 플라워파크, 근교산 캠핑장 휴양림, 산림여가공원, 시민과 함께하는 정원도시


#48:28
5. 정원도시 서울
서울둘레길 2.0! 시민들이 더 쉽고 즐겁게 접근할 수 있도록 Upgrade
서울둘레길 156.5km의 변화
- 쉽게 이용 가능하도록: 8개 코스 → 21개코스
- 지하철역 접근성 개선: 직접연결 17개 → 49개 지하철역
- 거점 휴양시설 설치: 4개소(용마산, 관악산, 우면산, 봉산)
- 지역활성화: 지역명소, 전통시장 등과 연계

권역별 거점 휴양시설
- 하늘쉼터, 무인휴게소
- 둘레길 숲정이(마을숲)
- 둘레길 이벤트 활성화 : Trail Seoul 157K 서울둘레길 완주 100일 건강 챌린지

#50:13
5. 정원도시 서울
남산 야외 숲 박물관을 조성하고 소나무 숲 보전을 강화합니다.
남산을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숲으로
- 남산의 자연환경을 활용한 야외 숲 박물관 조성
- 남산 자연성 회복을 위한 생태경관보전지역 확대
- 남산둘레길 이용성 향상 및 경관조망을 위한 스카이워크 설치

남산의 다양한 즐길거리
- 스카이워크, 남산 소나무숲보전, 유아숲 체험원

#50:53
5. 정원도시 서울
남산 친환경 곤돌라 조성으로 접근성 대폭 개선 및 생태회복에 기여!
명동~남산 정상을 잇는 친환경 이동수단
- 무경사,무장애 동선계획
- 하부승강장의 대중교통 인접
- 관광버스 환승센터 직접 연결
- 운영수익금으로 생태환경 관리사업


#54:32
5.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서울의 도심 녹지생태공간을 15%이상 확보하겠습니다.

#54:57
6. 자원회수시설 공원형 복합타운 조성
자원회수시설을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58:15
7.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병풍 같은 한강변 스카이라인을 다시 그리겠습니다.

#58:25
7.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특색없이 획일적인 서울의 건축물이 혁신적으로 변화합니다.

GT타워('08건축허가) - 유연한 제도운용(특별건축구역 활성화)
현행: 3종일반주거지역 조례용적률 250%, 시행령용적률 3005
개선: 시행령용적률 360% 혁신디자인.
파격인센티브 × 1.2배
1. 선디자인 후 사업계획 2. 공사비 현실화 3. 건축가 위상 인식변화 4. 서울형 용도지역제 5.특별 건축구역 6. 불필요한 규제개혁 7. 통합심의


#59:20
8. 스마트 입체교통도시 구축
고속도로 지하화로 단절된 지역을 연결하고, 시민을 위한 공원 조성!
경부고속도로(서초구)


#59:46
청계천의 물결이
미래 자율주행차의
물결로 바뀝니다.

#1:00:05
상암동 일대
자율주행자동차
유상 운송 시작


#1:00:08
K-UAM Open The Urban Sky
한국형 UAM의 첫걸음 도시 하늘을 열다

여의도 - 인천국제공항 드론 택시
미래형 개인항공기로 통행시간 단축.
미래형 개인항공기 : 40km/20분, 승용차: 34km / 73분

스마트폰으로 손쉬운 매칭


#1:00:33
9. 서울형 메타버스
메타버스 서울, 美타임지 2022년 '최고의 발명' 선정
타임지 - 메타버스 서울은 도시가 만든 세계 최초의 메타버스 플랫폼. 서울시의 5개년 비전은 시민 및 사용자들과 소통장벽을 낮추는, 민원처리 등이 가능한 완전한 서비스 가상세계를 구현하는 것.


#1:00:48
10.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25개 자치구를 경유하는 서울의 생명선, 수변공간의 가치 극대화!
서울시 물길 총 332km
서울시 25개 자치구, 425개 행정동중 297개 행정동과 인접

지역주민에게 매력적인 수변공간을 선물합니다.
- 홍제천 중류 시범사업지


#1:01:30
11. 창의행정
'창의행정'
새로운 시도와 부서간 협업으로 행정서비스를 개선.
'창의시정' 민선 4기 → '창의행정' 민선8기 2023년 3~4월 창의제안 접수 509건


#1:01:30
11. 창의행정
머니투데이 2023년 5월 30일 화요일 023면 사회 기사
둘레길 걸으면 포인트... '창의행정' 12건 선정
서울시, 우수사례 연내 추진.

"기술분야와 행정분야의 조직이 부서 칸막이를 넘어 이끌어낸 창의행정의 사례다"
올 초부터 직원들을 대상으로 창의행정을 강조해온 오세훈 서울시장이 휴대폰에 서울형 헬스케어 '손목닥터9988' 애플리케이션(앱)을 깔고 서울둘레길을 완주하면 편의점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주는 정책을 두고 이같이 말했다. 손목닥터9988과 서울둘레길 사업은 서울의 자연환경을 즐기면서 동시에 시민들의 건강을 챙기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은 것이다.
서울시는 이같이 시민행정서비스 개선을 위해 직원들이 제안한 12건의 우수 사례를 공개하고 이를 연내 추진하겠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지난 3~4월 두 달간 직원 제안시스템인 창의발전소 등에서 업무 관련 창의 아이디어를 받은 결과 509건이 접수됐다.
시는 이 가운데 창의성과 효과성,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해 우수 제안으로 12건을 최종 선정했다. 우선 시민 건강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손목닥터9988' 앱과 서울둘레길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는게 대표적이다. 시는 서울둘레길 완주 시 9988 포인트를 추가로 지급해 제휴 가맹점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김지현 기자
[기사이미지 - 서울 강서구 강서둘레길 방화근린공원 코스]


#1:01:52
11. 창의행정
시민행정 서비스 개선을 위한 12건의 우수 창의제안입니다.
- 손목닥터 9988×둘레길, 수도정비 기본계획 검토, 전통시장-민간기업 상생프로젝트, 종이없는 계약행정 추진, 반지하주택 모바일 전수조사, 유휴 공공시설 공유플랫폼 개발, 한파 폭설 대비 고성능 제설장비 도입, 어르신 디지털 금융사기 예방, 책읽는 서울광장-밤의 여행도서관, 그린폴 골목길 프로젝트, QR코르를 통한 귀로듣는 식물설명, 서울페이 상품권 잔액기부


#1:01:59
11. 창의행정
창의행정 사례1
지하철 하차 후 반대방향 재탑승 시 요금면제
일정시간(10분이내) 재탑승 시 환승적용)
YTN - 서울지하철 하차 후 10분내 재탑승 시 추가 요금 면제 추진
연합뉴스TV - 내렸다 10분 내 다시 타면 지하철 요금 면제 추진
댓글1 - 굿 아이디어! 아주 합리적이다. 그러면 게이트 밖 화장실 가느라고 일일히 역직원에게 양해를 구하고 갈 필요가 없으니 너무 좋다! 어떤 때는 너무 급해서 카드 찍고 나가고 용변 본 후 카드태그해 요금 또 나가는 경우도 있었다. 직원편리! 승객편리!
댓글2 - 굿이네요. 민생과 가장 밀접한 개선이죠.

#1:02:25
11. 창의행정
창의행정 사례2
전통시장-민간기업 상생프로젝트
전통시장 내 빈 공간 활용, 민간기업 브랜드 유치 및 관광상품 개발
예) 스타벅스 경동1960점
사업대상:100평이상 유휴공간 보유시장
사업방식: 서울시-상인회-건물주-기업 4자 상생협약
(수유시장, 광장시장)

#1:02:32
동행·매력 특별시 서울
시민 입장에서 생각하기 → 선도적 적극행정
서울시의 유전자를 바꾸겠습니다!

#1:02:46
서울이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춘
세계5위 도시로 발돋움 합니다.

2022 도시종합 경쟁력 지수 GPCI(MORI)
1위 런던 전년대비(-)
2위 뉴욕 전년대비(-)
3위 도쿄 전년대비(-)
4위 파리 전년대비(-)
5위 싱가포르 전년대비(-)
6위 암스테르담 전년대비(-)
7위 서울 전년대비(1단계상승)
8위 베를린 전년대비(1단계하락)
9위 멜버른 전년대비(2단계상승)
10위 상하이 전년대비(-)

#1:04:30
계층이동이 활발하고 약자와 함께하는 동행특별시
살고싶고 투자·관광하고 싶은 매력특별시

이전, 다음글 선택